귀여운 강아지를 입양하셨나요? 축하드립니다! 이제 막 새로운 가족이 된 강아지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실 텐데요. 하지만 강아지의 건강을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두셔야 할 중요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특히 생후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의 강아지는 면역력이 약해 각종 질병에 취약하기 때문에, 적절한 예방접종과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아지의 필수 예방접종 스케줄과 추가적인 건강관리 정보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강아지 필수 예방접종 스케줄
강아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생후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의 강아지에게 필요한 주요 예방접종 스케줄입니다[1]:
| 접종 시기 | 예방접종 종류 | 비고 |
|---|---|---|
| 생후 6-8주 | 종합백신 1차 | DHPPL(디스템퍼, 간염, 파보, 파라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 |
| 생후 8-10주 | 종합백신 2차, 코로나 장염 1차 | |
| 생후 10-12주 | 종합백신 3차, 코로나 장염 2차 | |
| 생후 12-14주 | 종합백신 4차, 켄넬코프 | |
| 생후 14-16주 | 종합백신 5차, 광견병 | 법정 필수 예방접종 |
종합백신(DHPPL): 강아지에게 가장 중요한 예방접종으로, 디스템퍼, 전염성 간염, 파보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 등 5가지 주요 질병을 예방합니다. 생후 6-8주부터 2주 간격으로 총 5회 접종합니다[2].
코로나 장염: 강아지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장염을 예방하는 백신으로,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켄넬코프: 강아지의 전염성 기관지염을 예방하는 백신으로, 특히 다른 개들과 자주 접촉하는 경우 중요합니다.
광견병: 법정 필수 예방접종으로, 생후 3개월 이상의 모든 개에게 1년에 한 번씩 접종해야 합니다[3].

💡 전문가 팁
예방접종 후에는 24-48시간 동안 강아지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주세요. 발열, 무기력,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수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2. 추가적인 건강관리 정보
2.1 심장사상충 예방
심장사상충은 모기를 통해 전염되는 심각한 기생충 질환입니다. 예방이 치료보다 훨씬 중요하므로, 생후 8주부터 매월 정기적으로 예방약을 투여해야 합니다[4].
- 예방약 종류: 경구용 정제, 스팟온 제품, 주사제 등
- 투약 주기: 대부분 월 1회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주의사항: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세요.
2.2 외부 기생충 예방
벼룩, 진드기 등의 외부 기생충은 강아지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예방이 필요합니다[5].
- 예방 방법: 스팟온 제품, 목걸이 형태의 제품, 경구용 정제 등
- 적용 주기: 제품에 따라 월 1회 또는 3개월에 1회
- 추가 관리: 정기적인 털 브러싱, 환경 청결 유지
2.3 내부 기생충 구제
회충, 십이지장충 등의 내부 기생충은 강아지의 영양 흡수를 방해하고 건강에 악영향을 줍니다. 정기적인 구충이 필요합니다[6].
- 구충 시기: 생후 2주부터 시작해 2주 간격으로 3회, 이후 3개월 간격으로 정기적 구충
- 구충제 종류: 경구용 정제, 현탁액 등 (수의사와 상담 후 선택)
⚠️ 주의사항
모든 예방약과 구충제는 반드시 수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과다 투여나 부적절한 사용은 강아지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3. 건강수첩 활용하기
강아지의 건강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건강수첩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건강수첩에 기록해야 할 주요 항목들입니다:
- 기본 정보 (이름, 생년월일, 품종, 성별 등)
- 예방접종 기록 (접종 일자, 백신 종류, 다음 접종 예정일)
- 심장사상충 및 기생충 예방 기록
- 체중 변화 기록
- 건강검진 결과
- 특이사항 (알레르기, 만성질환 등)
이러한 정보를 꾸준히 기록하면 강아지의 건강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수의사와의 상담 시에도 매우 유용합니다.
결론
강아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의 예방접종과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예방접종 스케줄과 건강관리 정보를 참고하여 우리 강아지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수의사와 상담하며 강아지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는 관리를 받는 것입니다.
강아지와 함께하는 모든 순간이 행복하고 건강하기를 바랍니다! 🐾
[1]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AAHA) Canine Vaccination Guidelines: https://www.aaha.org/aaha-guidelines/vaccination-canine-configuration/vaccination-canine/
[2] 대한수의사회 반려동물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https://www.kvma.or.kr/dog/health/vaccination.asp
[3] 농림축산식품부 광견병 예방접종 안내: https://www.mafra.go.kr/pet/1351/subview.do
[4] American Heartworm Society Guidelines: https://www.heartwormsociety.org/pet-owner-resources/heartworm-basics
[5] Companion Animal Parasite Council (CAPC) Guidelines: https://capcvet.org/guidelines/fleas/
[6] World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WSAVA)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Intestinal Parasites: https://wsava.org/wp-content/uploads/2020/01/WSAVA-Guidelines-for-the-Control-of-Intestinal-Parasites.pdf

